교보

창조경제란 무엇인가

김기현 | 북코리아
  • 등록일2017-04-25
  • 파일포맷epub
  • 파일크기5 K  
  • 지원기기아이폰, 아이패드, 안드로이드, 태블릿, PC
  • 보유현황보유 1, 대출 0, 예약 0
  • 평점 평점점 평가없음

책소개

지식정보경제론 이후 등장한 창조경제, 그 창조경제의 기초부터 심화된 이론과 실제 사례를 다룬 책, 《창조경제란 무엇인가》. 이 책을 통해 누구라도 창조경제론의 핵심원리를 파악하고, 한국적 창조경제의 방향성을 모색할 수 있다. 이렇게 창조경제를 모색하는 것은 비단 국가나 산업에만 해당하는 것이 아니라 개개인들의 자유와 행복을 위한 경제 문화적 토대를 어떻게 만들 것인가를 말한다.

저자소개

저자 : 김기현
저자 김기현은 청운대학교 겸임교수?고려대학교 등 출강?미래문화전략연구소장.
- (재)문화콘텐츠센터이사장 역임.
- 2002월드컵조직위 보도부장ㆍ미디어운영부장으로 활동.
- 문화체육관광부 국립중앙박물관 사업기획팀장, 국립현대미술관 전시과장으로 재임, 문화산업국, 관광국에서 근무.
- 방송개혁위원회 ? 초고속정보통신망구축기획단 등에서 근무.
저자 : 김헌식
저자 김헌식은 2004년부터 문화평론가 및 정책평론가, 국민대 미래학 강의.
- 지식경제부, 한국전산원, 국회사무처, 방송통신위원회에서 실시한 ‘미래산업구조연구’, ‘미래입법수요’, ‘ICT전략과 사회문화변화’, ‘지식정보시장활성화’ 등의 프로젝트에 참여.
- 한국지역문화콘텐츠연구원 미디어 콘텐츠 연구분과위원장 역임.
- 저서로 《대중문화 심리로 읽는 한국사회》, 《트렌드와 심리》, 《K팝 컬처의 심리》, 《대중문화 심리 읽기》, 《의외의 선택, 뜻밖의 심리학》 등.

목차

프롤로그: 창조경제가 논란인 이유

제1부. 창조경제의 기원과 원리
1. 창조경제 부상의 배경과 이유
2. 창조경제의 기원과 기본 개념
1) 창조경제와 창조산업의 기초
2) 존 호킨슨의 창조경제론
3) DCMS와 NESTA의 창조경제론: 크리에이티브 브리튼
4) UN의 창조경제론: UNCTAD의 창조경제와 UNESCO 창조도시
5) 콜레트 헨리의 창조산업과 기업가 정신
6) 리처드 플로리다의 창조도시와 창조계급론
7) 찰스 랜드리의 창조도시 만들기
8) 에드워드 글레이저의 도시의 창조성론
9) 빌 게이츠의 창조자본주의와 창조경제

제2부. 창조경제의 기본 원리와 확장
1. 창조경제의 기초 동력: 강대국과 지적 권리의 지속화
2. 창조경제 형성의 원리
3. 창조경제의 특징: 산업적 특징을 중심으로
1) 일반적인 문화적 창조산업의 특징
2) 부각되는 창조산업의 특성
4. 진화하는 창조경제

제3부. 창조경제의 사례분석
1. 국가
1) 영국: 위대한 영국 창조정책 프로그램
2) 이스라엘: 창조기업 인큐베이팅 프로그램과 시스템
3) 핀란드-스타트업 프로그램
4) 독일-스핀 오프 크리에이터와 히든 챔피언
5) 미국: 창조와 특허 그리고 창업 미국, 미국혁신전략
6) 유럽연합: Europe2020과 EU Framework Program
2. 각 분야별 사례분석
1) 전통첨단 공존형 창조경제-런던
2) 테크 시티: 융합의 마지막 퍼즐 한 개
3) 전통-현대의 절묘한 배합, 실리콘 색스니 ‘드레스덴’
4) 유럽의 IT밸리: 소피아 앙티폴리스
5) 문화예술의 섬 ‘나오시마’
6) 벤처경제의 시작과 끝: 실리콘밸리
7) 세계 크리에이티브 공장: 뉴욕
8) 천혜의 자연과 인공 첨단의 만남: 시애틀
9) IT미디어문화형 창조경제: 미국 오스틴
10) 테크놀로지형 창조경제: 미국 랄리-더햄
11) 디자인토피아: 토리노
12) 정크 크리에이티브: 태양의 서커스
13) 무술의 창조경제화: 소림사의 스핀오프
14) 벤처의 트리거 앵그리버드
15) 각본 없는 드라마노믹스: 스포츠 창조경제

제4부. 창조경제에 관한 한국의 논의들
1. 창조경제에 관한 견해와 모델들: ‘창조경제 사용설명서’
1) 선도형 경제
2) 민간 창조경제론
3) 벤처 창조경제론
4) 일자리와 먹거리 창조경제론
5) 중소기업 창조경제론
6) 문화상품(콘텐츠) 창조경제론
7) 제조업 창조경제론: ‘리쇼어링’
8) ICT와 과학기술의 창조경제론
2. 창조경제론을 위한 성공요인 방안들
1) 문화적 요인
2) 탈규제
3) 융합
4) 오픈 이노베이션
5) 신뢰 형성
6) 기초 연구 증대
7) 교육적 요인-인재육성
3. 한국정부의 창조경제론
1) 박근혜 정부의 기조
2) 문제 제기

한줄 서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