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큐브

미술사 아는 척하기

리처드 오스본 | 팬덤북스
  • 등록일2018-02-20
  • 파일포맷pdf
  • 파일크기1 K  
  • 지원기기아이폰, 아이패드, 안드로이드, 태블릿, PC
  • 평점 평점점 평가없음

책소개

리처드 오스본 Richard Osborne

철학자이자 저술가. 예술, 기술, 문화 영역에 관심이 있다. 현재 런던 예술 대학교에서 미술 이론과 철학을 가르친다.
저서로 《친절한 철학, 쉽게 읽는 철학사》, 《초보자를 위한 프로이트》, 《미술 속의 철학》 등이 있다.


나탈리 터너 Nathalie Turner

런던에 거주하면서 프리랜서 일러스트레이터로 일하고 있다.


신성림

1969 부산에서 태어나 이화여자대학교와 같은 대학원 철학과에서 철학을, 프랑스 파리 10대학에서 미학을 공부했다.
지은 책으로 《클림트, 황금빛 유혹》, 《여자의 몸》, 《춤추는 여자는 위험하다》가 있다. 옮긴 책으로는 《반 고흐, 영혼의 편지》, 《프리다 칼로 & 디에고 리베라》, 《반 고흐》, 《상징주의와 아르누보》, 《세계에서 가장 아름다운 미술관 100》, 《새콤달콤 색깔들》, 《미완의 작품들》, 《동물들이 살아 있는 미술관 이야기》 등이 있다.

저자소개

리처드 오스본 Richard Osborne
철학자이자 저술가. 예술, 기술, 문화 영역에 관심이 있다. 현재 런던 예술 대학교에서 미술 이론과 철학을 가르친다.
저서로 《친절한 철학, 쉽게 읽는 철학사》, 《초보자를 위한 프로이트》, 《미술 속의 철학》 등이 있다.
나탈리 터너 Nathalie Turner
런던에 거주하면서 프리랜서 일러스트레이터로 일하고 있다.

신성림
1969 부산에서 태어나 이화여자대학교와 같은 대학원 철학과에서 철학을, 프랑스 파리 10대학에서 미학을 공부했다.
지은 책으로 《클림트, 황금빛 유혹》, 《여자의 몸》, 《춤추는 여자는 위험하다》가 있다. 옮긴 책으로는 《반 고흐, 영혼의 편지》, 《프리다 칼로 & 디에고 리베라》, 《반 고흐》, 《상징주의와 아르누보》, 《세계에서 가장 아름다운 미술관 100》, 《새콤달콤 색깔들》, 《미완의 작품들》, 《동물들이 살아 있는 미술관 이야기》 등이 있다.

목차

미술, 시작하다
누구나 미술 이론을 갖고 있다 | 미술 이론이란 실제로 무엇인가?
어디서 시작하는가? | ‘미술’이라는 단어 | 미술 이전에 미술이 있었는가?
고대 그리스
아리스토텔레스와 미술 | 미술의 모방 이론 | 아름다운 것이 더 나은가?
크레타인이 설명하는 그리스 미술 | 로마 미술과 후기 고전 미술 | 고대 미술
미술과 종교
불교 | 도교 | 유교 | 고전 미술을 잊어버린 서양 | 동로마 제국
우상 파괴 | 이슬람 미술 | 신성 기하학 | 기독교 미술 | 중세 미술
르네상스
인본주의 | 르네상스 시대의 미술가 개념 | 그리스와 로마의 권위
르네상스 시대의 실용적인 미술 이론 | 소묘와 색채 | 구성 | 발명
기베르티 vs 브루넬레스키 | 선 원근법 | 유화의 등장 | 매너리즘
종교적 혼란 | 바로크 | 르네상스에서 계몽주의까지
미술의 발명
한눈에 보이는 계몽사상 | 계몽사상이란 무엇인가? | 로코코 | 아카데미즘
아카데미의 인기 순위 | 신고전주의 | 너무 이상적인 미 | 미래의 반향
미술의 근대화 | 미학 | 미는 진리다 | 미적 판단 | 판단력 비판
칸트의 설명 | 칸트의 미적 판단 | 숭고 | 정신을 압도하는 것
루소와 낭만 정신 | 괴테, 천재, 색채 | 거울과 램프 | 낭만적 풍경
헤겔의 정신 | 미술에 대한 경험적 접근법
산업화 시대
러스킨과 빅토리아 시대 사람들 | 라파엘 전파 연합 | 사실주의
마네의 사실주의 | 미술의 사회적 기능 | 마르크스와 미술
윌리엄 모리스와 미술의 사회적 기능 | 미술과 사진 | 인상파 | 진보의 소멸
그것은 비극이다 | 새롭게 보는 법 | 데카당스 | 상징주의 | 예술 지상주의
법정에 선 예술 | 산업 시대의 색채 이론 | 자포니슴 | 후기 인상파
야수파 | 원시주의 | 고상한 야만인 | 세계화로 가다 | 입체파 | 표현주의
모던 미술
모던과 모더니즘은 어떤 의미로 사용하는가? | 모더니즘 예술 | 미래주의
소용돌이파 | 반예술 | 초현실주의 | 무의식 | 자동기술법
기괴함 | 프로이트와 예술 이론 | 어른이 되는 서로 다른 길
프로이트가 보는 레오나르도 다빈치 | 마르셀 뒤샹과 레디메이드 | 커다란 유리
추상 미술 | 특이한 추상 미술 이론들 | 형식주의
의미 있는 형식은 어떻게 알아볼까? | 미술의 내적 속성과 외적 속성
고급 예술과 저급 예술 | 이분법에 도전하다 | 저급 예술과 장식
예술과 존재 | 예술, 존재 , 진리 | 기호학과 구조주의 | 기호란 무엇인가?
미술과 기호학 | 프랑크푸르트학파와 예술 이론 | 기술 복제와 발터 베냐민
긍정적 문화 | 벽 없는 미술관 | 1950년대의 추상 회화
후기 모던 미술
그림이 그 자체가 되다 | 미국 미술의 수출 | 미니멀리즘
페미니즘의 미니멀리즘 비판 | 해석에 반대한다 | 미술과 심리학
다른 방식으로 보기 | 팝 아트 | 팝 아트의 정치학 | 팝 아트와 미술의 종말
오브제의 비물질화 | 1960년대 이후의 미술은 과거와 같을까?
960년대 페미니즘 - 제2의 물결 | 1960~1970년대 미술의 주된 경향
정체성의 정치학
오리엔탈리즘 | 정체성 | 재현의 정치학
포스트모더니즘
포스트모더니즘 정의하기 | 거대 서사의 몰락 | 해체 이론 | 회화 속의 진리
지식의 고고학 | 저자의 죽음 | 누구나 미술가가 될 수 있다
시뮬라시옹과 하이퍼리얼리티 | 실재란 무엇인가? | 브리콜라주
클로드 레비스트로스 | 알레고리적 충동 | 포스트모더니즘과 후기 자본주의
타자성
미술 안의 애브젝트 | 무정형성 | 엔트로피 | 리좀 | 퀴어 이론
전쟁터로서의 몸 | 디지털 | 주요 사이버 이론가들 | 미술관
미술관에서 잠자기 | 단지 시각 문화일 뿐

한줄 서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