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학교 교육학과에서 교육공학전공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서울대학교 교수학습개발센터의 연구 조교수를 역임했다. 서울대학교 사범대 학부와 대학원에서 잘 가르치고 배우는 것에 대한 분야를 10년 넘게 가르쳤고, 서울대 교수학습개발센터에서 약 7년간 교수들의 강의를 분석하고 컨설팅했다.
어떻게 하면 잘 가르칠 수 있고 잘 배울 수 있는지에 대해 주된 관심을 기울여 이와 관련된 철학, 정책, 제도, 교수법 등을 연구하고 국내외 학술지에 꾸준히 논문을 발표해 왔다. 세계 각국 20여 곳의 명문대들을 직접 방문해 교육정책담당 기관장들을 인터뷰하면서, 대학 교육의 질을 높이기 위한 노력들은 어떤 것들이 있는지 개별 교수부터 대학 기관까지 다양한 차원에서 분석했다.
서울대학교 학생들의 학습 방법이 갖는 특징이 무엇인지를 최초로 연구하고, 이를 통해 우리 대학 교육의 현실과 문제를 예리하게 포착했다. 특히 미국 앤아버의 미시간대학교에서 객원교수로 있으면서 서울대학교 학생들의 특징이 미국 대학생들과 어떻게 다른지 국가·문화·대학교육 시스템 등을 비교연구했다.
수년간 축적된 연구들을 기반으로 『서울대에서는 누가 A+를 받는가』를 출간해 언론의 집중 조명을 받았다. 한국 최고의 명문대라 일컬어지는 서울대의 수용적 교육 현실을 신랄하게 비판하여 대학교육에 경종을 울리고, 한국의 교육문화 전체를 점검해 보는 계기를 마련했다고 평가받는다. KBS 「명견만리」, EBS 「교육대기획 - 시험」, EBS 「초대석」, KBS 「교육 혁신 프로젝트 - 학교의 진화」 등에 출연하고 매일경제 명예기자로도 활동했다.
현재는 「교육과 혁신 연구소(www.eduinno.org)」의 소장으로 있으면서 교육문제 해결 방안에 대해 탐구하고 있다.
서울대학교 교육학과에서 교육공학전공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서울대학교 교수학습개발센터의 연구 조교수를 역임했다. 서울대학교 사범대 학부와 대학원에서 잘 가르치고 배우는 것에 대한 분야를 10년 넘게 가르쳤고, 서울대 교수학습개발센터에서 약 7년간 교수들의 강의를 분석하고 컨설팅했다.
어떻게 하면 잘 가르칠 수 있고 잘 배울 수 있는지에 대해 주된 관심을 기울여 이와 관련된 철학, 정책, 제도, 교수법 등을 연구하고 국내외 학술지에 꾸준히 논문을 발표해 왔다. 세계 각국 20여 곳의 명문대들을 직접 방문해 교육정책담당 기관장들을 인터뷰하면서, 대학 교육의 질을 높이기 위한 노력들은 어떤 것들이 있는지 개별 교수부터 대학 기관까지 다양한 차원에서 분석했다.
서울대학교 학생들의 학습 방법이 갖는 특징이 무엇인지를 최초로 연구하고, 이를 통해 우리 대학 교육의 현실과 문제를 예리하게 포착했다. 특히 미국 앤아버의 미시간대학교에서 객원교수로 있으면서 서울대학교 학생들의 특징이 미국 대학생들과 어떻게 다른지 국가·문화·대학교육 시스템 등을 비교연구했다.
수년간 축적된 연구들을 기반으로 『서울대에서는 누가 A+를 받는가』를 출간해 언론의 집중 조명을 받았다. 한국 최고의 명문대라 일컬어지는 서울대의 수용적 교육 현실을 신랄하게 비판하여 대학교육에 경종을 울리고, 한국의 교육문화 전체를 점검해 보는 계기를 마련했다고 평가받는다. KBS 「명견만리」, EBS 「교육대기획 - 시험」, EBS 「초대석」, KBS 「교육 혁신 프로젝트 - 학교의 진화」 등에 출연하고 매일경제 명예기자로도 활동했다.
현재는 「교육과 혁신 연구소(www.eduinno.org)」의 소장으로 있으면서 교육문제 해결 방안에 대해 탐구하고 있다.
● 추천사
● 독자분들께
● 시작하며_대한민국 공교육을 탈출하는 교육학자의 아이들
1부 지금 대한민국 교육은?
01 아이를 안 낳는 이유? 교육비가 무서워서!
02 4차 산업혁명 시대, 교육의 가성비는?
03 배움이 실종된 수업
04 교실 안의 절대자
05 교사의 발목을 잡고 있는 것들
06 국정교과서 논쟁에 감추어진 프레임
07 공감력도 교육의 몫이다
08 교실에 스마트폰을 허한다면
2부 시험이 바뀌면 대한민국이 바뀐다
09 시험이 수업을 결정한다
10 수능은 실패했다
11 새로운 대안, 새로운 평가 기준
12 새로운 시험 - 국어
13 새로운 시험 - 역사
14 새로운 시험 - 과학
15 새로운 시험 - 외국어
16 새로운 시험 - 미술
17 새로운 시험 ? 지식론
3부 새로운 시험을 향한 질문들
18 사회 구조를 바꾸는 게 먼저다? - 일본은 이미 시작한 시험 혁명
19 채점의 공정성이 흔들린다? - ‘객관식=객관성’인 것은 아니다
20 난이도가 너무 높다? - 새로운 시험을 본 학생들이 말하다
21 우리나라 교사들로는 안 된다? - 신발 신은 원숭이의 우화
22 본고사, 사교육, 엘리트 교육과 관련하여
4부 앞으로 대한민국 교육은?
23 4차 산업혁명 시대의 교육은 무엇을 해야 할까?
24 미국 교육이 우수하다?
25 한국 학생들은 왜 PISA 성적이 뛰어날까?
26 “국민은 개돼지입니다” 교육부, 이대로 괜찮을까?
27 행복한 교육, 질문이 있는 교실, 그리고 거꾸로 교실에 대해
28 교육이 단기간에 바뀔 수 있을까?
● 마치며_ 다시 한 번, 시험이어야 한다
● 감사의 글
● 이 책이 기반을 둔 저자의 연구 및 발표자료들
● 이 책이 참고한 자료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