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라딘

가장 먼저 증명한 것들의 과학 - 어느 호기심 많은 인간의 생각이 노벨상을 타기까지

김홍표 지음 | 위즈덤하우스
  • 등록일2019-02-01
  • 파일포맷epub
  • 파일크기17 M  
  • 지원기기아이폰, 아이패드, 안드로이드, 태블릿, PC
  • 보유현황보유 2, 대출 0, 예약 0
  • 평점 평점점 평가없음

책소개

굳어 있는 우리 사고를 자극하는 선명하고 아름다운 결과값의 역사
질문과 의심, 뚝심과 영감이 만들어낸
도대체가 정상이 아닌 과학자들의 발견과 증명의 기록


“어떤 진실은 스스로 발견할 때에만 그 모습을 드러낸다.” 드니 빌뵈브 감독의 영화 <그을린 사랑>의 대사인 이 문장은 (비단 가혹한 운명에 처한 비운의 주인공이 아니어도) 과학을 공부해본 이라면 누구나 수긍할 수 있는 말일 것이다. 몇몇은 ‘어떤 진실’이라는 말에 갸우뚱 할지도 모르겠다. ‘거의 모든 진실’이 스스로 발견하지 않고는 그 모습을 드러내지 않기 때문이리라.
《가장 먼저 증명한 것들의 과학: 어느 호기심 많은 인간의 생각이 노벨상을 타기까지》(위즈덤하우스 刊)는 모두가 한 곳을 바라보고 있을 때, 아무도 생각하지 않은 곳에서 위대한 발견을 해낸 과학자들에 관한 이야기다. 대체로 많은 위대한 발견이 ‘노벨’이라는 인증서를 받아왔기 때문에, 노벨상을 수상한 과학자들을 중심으로 발견의 순간과 그 발견을 가능하게 한 과학적 사고에 대해 추적한다. 그러나 이 책에서 노벨상이 지니는 의미는 크지 않다. 노벨상을 수상했건 수상하지 않았건, 대체로 무언가를 가장 먼저 발견하고 증명한 이들이 지닌 태도는 크게 다르지 않기 때문이다. 황열병 환자와 접촉하는 것이 위험하지 않다는 사실을 증명하기 위해 스터빈스 퍼스라는 과학자는 환자의 토사물을 먹었다. 죽어 나간 환자의 침대에서 잠을 자기도 하고 환자의 몸에서 나오는 피, 땀, 오줌을 먹기도 했다. 이런 미친 이력 말고 그가 과학사에 남긴 것은 아무것도 없다. 그러나 그의 실험은 ‘황열병은 접촉으로는 전염되지 않는다’는 사실을 확실히 증명했다.
이 책은 누구도 생각지 못한 방식으로 가장 먼저 의문을 품고 질문한 이들에 대한 기록이다. 동시에 온갖 위험을 무릅쓰고, 지루하고 고통스럽게 반복하고 열중해나간 끝에 누구도 보지 못한 것을 가장 먼저 확인한 이들의 기록이다. 그들은 모두 과학자였지만, 그들이 발견해낸 혁신의 실마리는 인류 전체의 생활과 의식 수준을 더 높은 차원으로 끌어올렸다. 또한 회사를 다니고 학교에서 공부를 하고 있는 평범한 우리들에게도 많은 영감을 불러일으킨다. 우리 각자는 어제와 똑같은 방법으로 오늘의 일을 그저 반복하는 데 그쳐도 되는 것일까? 우리는 우리의 학생과 후배들에게 어떻게 질문하고 해결하도록 북돋을 수 있을까? 책은 다양한 방식으로 우리 안에 잠들어 있는 ‘더 나은 삶의 방향과 방식’에 대해 욕망하게 만든다. 또한 우리가 안고 있는 문제를 깨부술 수 있는 사고의 실마리를 얻도록 돕는다. 새롭게 영감을 얻고, 패턴화된 삶에 자극을 얻고자 하는 이들에게는 굳어 있는 뇌를 깨우는 단비 같은 책이 될 것이다.


성실하고 친절한 과학 저술가 김홍표 교수가 던지는
‘질문하지 않는 세대’에 대한 다정한 충고


의학과 약학 분야의 한국인 기초과학 상위연구자(한국연구재단이 톰슨로이터 DB의 피인용 상위 10% 논문을 분석한 자료)이자 아주대학교 약학대학 교수인 김홍표는 최근 대한민국에서 가장 많은 대중강연을 하는 과학자 중 하나이다. 그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강연이나 전공자들을 대상으로 한 강연을 가리지 않고 일단 질문을 던진다. 그는 질문을 통해, 답을 알게 되는 동시에 우리가 무엇을 모르는지를 알 수 있다고 말한다. 우리가 무엇을 모르는지에 대한 자각은, 합리적인 의심과 발전적인 질문으로 이어진다. 그는 비단 과학 분야뿐 아니라 문학과 영화에 등장하는 많은 사례를 들어 이 책을 읽는 독자들이 최대한 풍성하게 과학적 사고란 무엇이며 그 실체에 다가서기 위해서 무엇을 생각해야 하는지를 설명한다. 분야를 넘나드는 재미있는 설명과 깊이 있는 통찰은 우리가 과학 교양서에 대해 갖고 있는 막연한 오해들을 일시에 해소한다.

빅 데이터 시대의 정보는
숫자가 아니라 통찰로 이어져야 한다!


2011년 마틴 힐버트와 프리실라 로페즈는 <사이언스>에 발표한 논문에 2002년을 디지털 시대가 열린 해로 지목했다. 신문이나 책과 같은 아날로그 방식으로 정보를 저장하던 시대가 지나고, 인터넷을 통해 본인들이 찾고자 하는 정보를 거의 즉자적으로 찾는 시대가 된 것이다. 그러나 인터넷은 답을 정확하고 정교하게 배달해주는 기술이지, 내가 무엇을 알고 싶어 하고 무엇을 알지 못하는지는 알려주지 않는다. 인터넷이 제공하는 답에 익숙해지면, 자연스럽게 질문 자체는 물론이고 질문하는 방법조차도 잊어버리게 된다. 이 책은, 우리가 학교와 가정에서 우리가 속해 있는 공동체 안에서 어떻게 지적 호기심을 충족시킬 수 있는지, 어떻게 질문해야 하고 답해야 하는지에 대해 ‘질문과 증명의 달인들’의 사례를 통해 안내한다. 다소 엉뚱한 질문과 무모한 해결방식은 그 자체로 책을 읽는 기쁨을 선사하며 나의 문제해결 방식에 대한 도전의식을 갖게 한다.

저자소개

서울 대학교 약학 대학 약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석사 학위와 박사 학위를 받았다. 국립보건원 박사 후 연구원과 인하 대학교 의과 대학 연구 교수를 지내고 피츠버그 의과 대학, 하버드 의과 대학에서 연구했으며 현재 아주 대학교 약학 대학 교수로 있다. 『김홍표의 크리스퍼 혁명』, 『가장 먼저 증명한 것들의 과학』, 『먹고 사는 것의 생물학』 등을 쓰고, 『진화하는 물』, 『우리는 어떻게 태어나는가』 등을 옮겼다.

목차

[들어가며]
실패할지라도 언제든 아름다울 수밖에 없는 생각

제0장 과학은 동사다
: 준비된 자에게 우연은 더 이상 우연이 아니다

제1장 질문은 곧 창조다
: 존재의 잊힌 측면을 바라보게 하는 힘

제2장 최초의 비타민
: 선명하고 아름다운 결과들

제3장 센트죄르지의 후예들
: 과학적 전통은 과학자의 자긍심에서 나온다

제4장 콜레스테롤 형제들
: 가장 먼저 증명하기 위한 치열한 레이스

제5장 원숭이와 인간의 혈액형은 같은가?
: 란트슈타이너가 누린 자유

제6장 페스트, 쥐, 그리고 열역학 법칙
: 명백한 결함이 살아남는 이유

제7장 적도에서 피는 더 붉다
: 함께 쌓아올리는 양적 축적의 구조물

제8장 시케토숙푸말옥
: 질적 도약을 가능하게 하는 질문

제9장 질소가 쏘아올린 노벨상
: 과학의 야누스적인 면모

제10장 용감한 과학자들
: 무모함이 발견을 낳는다

제11장 빅 데이터 시대를 사는 과학자의 보폭
: 과학은 통찰이지 숫자가 아니다

참고문헌 299

한줄 서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