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라딘

언젠가, 아마도 - 김연수 여행 산문집

김연수 지음 | 컬처그라퍼
  • 등록일2019-02-01
  • 파일포맷epub
  • 파일크기18 M  
  • 지원기기아이폰, 아이패드, 안드로이드, 태블릿, PC
  • 평점 평점점 평가없음

책소개

흔히 여행은 설레고 즐거운 것으로만 생각한다. 하지만 우리의 삶처럼, 여행 또한 막상 떠나보면 기대했던 것과 꼭 같지는 않다. 예상치 못한 상황이 발생해 발을 동동 구르고, 아무도 없는 타지에서 전에는 몰랐던 지독한 고독을 맛보기도 하고, 전혀 다른 삶을 사는 타인의 존재에 당혹감을 느끼기도 한다. 게다가 여행이 끝난 뒤에도 변함없는 현실, 고민, 걱정거리를 확인하고 나면, 그 여행마저도 완벽한 도피나 해답은 될 수 없다는 사실을 뼈저리게 실감하게 된다.

소설가 김연수에게도 마찬가지다. 여행은 설레고 즐겁고 짜릿하기보다, 외롭고 외로우며 또 외로운 시간의 터널처럼 보인다. 홀로 떠난 여행지에서 끼니를 해결하기란 생각보다 쉽지 않고('리스본의 밤에 듣는 파두의 매력'), 인파로 북적이는 관광지는 휴일의 놀이공원과 다를 바 없으며('유네스코 지정 외로운 세계 여행자'), 호텔 방은 이 세상에 오직 혼자라는 사실을 뼈저리게 재확인하는 장소다('체크인과 체크아웃 사이에 겨우 존재하는 것들').

그는 늘 그 외로움을 '통과하기' 위해 고군분투한다. 밤베르크에 석 달을 머무는 동안 저녁이면 리슬링 와인을 친구 삼았고('외로움도 너의 것이야'), 옌지에서는 호텔 커피숍에서 책을 읽으며 시간을 때웠다('단.독. 여행'). 마드리드에선 노트북 충전등에 숨은 의미를 발견하기도 했다('위로의 테크놀로지').

물론 그의 여행이 늘 외롭기만 한 것은 아니다. 뜻밖의 못한 사건('처음이자 마지막일 낙타고기의 맛')도 있고, 잊지 못할 만남('아름다운 모스크 아래의 소녀들')도 있다. 때로는 호텔 비누의 행방을 궁금해하고('그 많은 비누는 모두 어디로 갔을까?), 장거리 비행 중 이코노미석에서 시간 보내는 노하우를 공유하기도 한다('이코노미석에 앉아 조종사의 눈으로').

이처럼 여행이란 낯선 감정과 사람, 경험을 통해 일상 속에서 무심히 지나치던 것을 새롭게 바라보고, 깊숙이 묻어둔 기억을 되살리기도 하며, 뜻밖의 깨달음을 얻는 기회이기도 하다. 특히나 타인의 삶을 그려내는 소설가를 업으로 삼고 있는 저자에게 여행이란 어쩌면 자발적으로 선택한 낯설고 고독한 상황에서 외롭고 무력한 상태의 '낯선' 나를 마주하는 것. 그리고 그 과정을 통해 타인을, 나아가 세상을 조금 더 이해하는 것인지도 모른다. 그것이 저자가 또 다른 여행을 떠나는 이유이고, 스스로 '낯선 사람'이 되어 '누군가'를 만나기를 희망하는 이유이리라.

저자소개

한국에서 태어났다. "뚜렷한 사계절이 있기에 볼수록 정이 드는 산과 들" 같은 노래를 들으며 자랐다. 이 나라에서 사는 일은 극지에서 적도 부근까지 내려갔다가 다시 극지로 되돌아가는 여행과 비슷했다. 이 여행이 반복된다는 사실을 안 뒤부터 내게는 희망이라는 게 생겼다. '다시, 봄'이라는 희망. 고향에서 19년을 산 뒤에야 처음으로 서울이란 곳에 가봤고, 한국에서 27년을 산 뒤에야 외국을 처음 나가봤다. 그 뒤 세계 여러 나라를 여행했다. 여행을 통해 세상에는 내가 태어나 자란 곳과 다른 풍토를 가진 곳이 꽤 많지만, 그럼에도 거기 사는 사람들의 소망과 꿈은 나와 크게 다르지 않다는 것을 알게 됐다. 내 영혼은 키가 한 뼘 정도 더 자란 것 같다. 그러나 나는 여전히 이 땅에서 사계절을 여행하는 것을 제일 좋아한다. 하얗게 만개한 벚나무 아래의 일이 꽃 지는 나날의 우리를 위로하기를, 말라버린 낙엽에서 뜨거운 여름 햇살을 떠올리기를, 그러다가 어느 날 뜻하지 않은 폭설을 맞고 놀라기를, 언제나 손꼽아 기다린다. 수십 번의 사계절 여행을 통해 <파도가 바다의 일이라면> <네가 누구든 얼마나 외롭든> <밤은 노래한다> <사월의 미, 칠월의 솔> <세계의 끝 여자친구> <나는 유령작가입니다> <청춘의 문장들> 등의 책을 펴냈다. 2018년 지금은 새 소설을 쓰고 있다.

1970년 출생. 1994년 장편소설 《가면을 가리키며 걷기》를 발표하며 소설가로서 활동을 시작했다. 장편소설 《밤은 노래한다》 《네가 누구든 얼마나 외롭든》 《파도가 바다의 일이라면》 등과 소설집 《사월의 미, 칠월의 솔》 《세계의 끝 여자친구》 《나는 유령작가입니다》 《내가 아직 아이였을 때》 등을 출간했다. 이상문학상, 동인문학상, 대산문학상, 황순원문학상 등을 수상했다.

목차

작가의 말 4
여수에서는 군침이 돈다 12
변하는 것만이 영원하다 16
이 세상에서 완벽하게 사라지는 방법 20
오르골의 법칙, 도루묵의 법칙 24
떠나는 순간까지도 아쉬움은 남지 않게 28
그 많은 비누는 모두 어디로 갔을까 32
우린 모두 젊은 여행자 36
단. 독. 여행 40
꿈꾸고 소망하는 일, 사람의 일 44
천국에서 다시 만나잘까, 내가 사랑한 그녀 50
외로움도 너의 것이야 54
아름다운 모스크 아래의 소녀들 58
이게 청춘이 아니라면, 도대체 무엇이? 62
모든 삶을 다 살 수 없으니 나는 연필을 사겠다 66
이코노미석에 앉아 조종사의 눈으로 70
사막조차 피로 물드는 시대의 도피처 76
순천만에서 바다의 대답을 듣다 80
그대로 옮긴 \'기분 좋은 발음\' 84
다른 세상으로 가는 완행열차 88
나가사키의 특별한 라스트 드링크 92
멸종 위기에 놓인 \'낯선 사람\' 96
밀물처럼 밀려오던 리스본의 노스탤지어 100
롯폰기에서 한국 음식 맛보기 104
다시 돌아와 내 눈 앞에 선 코끼리 108
남산타워가 파란색으로 바뀌기를 바라는 세상이라니 112
페르시아, 사람은 배짱이라는 이상한 결론 116
여행의 불편함은 시차 같은 것 120
이제 다시 맛보지 못할 해피 스모킹 124
위로의 테크놀로지 128
수학여행은 무죄다 134
안중근의 손가락이 내게 들려준 말 138
이코노미석은 지상, 아니, 천상 최고의 창작 공간 142
두바이에서는 나도 만수르인 양 146
길고 긴 하얼빈의 밤에는 소설을 읽어야죠 150
부산의 택시기사들과 지구 끝까지 154
오래전에 살라망카를 떠나왔지만 158
처음이자 마지막일 낙타 고기의 맛 162
카프카의 불 피우는 기술 166
소설가가 여행지에서 제일 많이 하는 짓 176
모처럼의 여행인데 비가 내려 짜증난다면 182
터널을 빠져나와도 다시 이 우주라니 182
보이는 대로 볼 때 보이는 것 186
여기는 어디이며 나는 누구인가? 190
국제시장이 있으니 부산은 국제도시 194
지금 진보초에서는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 걸까? 198
리스본의 밤에 듣는 파두의 매력 202
세상에서 가장 사치로운 달리기 206
체크인과 체크아웃 사이에 겨우 존재하는 것들 210
유네스코 지정 외로운 세계 여행자 216
지구가 하나뿐이라 다행이야 222
여느 때와 다름없는 하노이의 아침에 226
세상이 변해도, 장소가 바뀌어도 여전한 것 230
사진으로 다 전하지 못하는 이야기들 234
하나의 나로만 살아가는 건 인생의 낭비 238
베이징의 옥류관에서 \'휘파람\'을 듣고 싶다 242
여행지에서 이따금 볼 수 있는 빛 246
기다리면 저절로 희망이 생겨난다 250
모든 게 끝났으니 진짜 여행은 이제부터 254

김연수의 여행에 함께한 책과 영화, 그리고 음악 258
첫 독자의 말 260

한줄 서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