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라딘

자바로 배우는 핵심 자료구조와 알고리즘 - 기술 면접에 필요한 실용주의 자료구조와 알고리즘

앨런 B. 다우니 지음, 유동환 옮김 | 한빛미디어
  • 등록일2019-02-01
  • 파일포맷pdf
  • 파일크기2 M  
  • 지원기기아이폰, 아이패드, 안드로이드, 태블릿, PC
  • 평점 평점점 평가없음

책소개

<B>자료구조와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간단한 웹 검색 엔진 만들기

이 책은 컴퓨터과학을 공부하거나 기술 인터뷰를 준비하는 소프트웨어 개발자를 위한 실용적인 책입니다. 자료구조와 알고리즘을 빠르게 배울 수 있도록 실용적이고 중요한 부분을 중점으로 설명합니다. 자료구조가 어떻게 동작하는지보다 어떻게 활용하는지에 초점을 맞추었습니다.
이 책은 웹 검색이라는 응용 분야에 집중합니다. 이 분야는 자료구조를 광범위하게 사용하며 자체로도 흥미롭고 중요합니다. 다른 책에서는 보기 어렵지만 기술 인터뷰에 필요한 내용입니다. 또한, 버전 관리와 유닛 테스트 같은 기본적인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링 실무 내용도 다룹니다. 장마다 배운 것을 확인할 수 있는 예제가 있고, 해답을 확인할 수 있는 자동화된 테스트도 제공합니다.

· 리스트와 맵 등의 자료구조 사용과 작동 방식 이해하기
· 위키피디아 페이지를 읽고, 분석하고, 결과 데이터 트리를 탐색하는 응용 프로그램 작성하기
· 코드를 분석하여 실행시간과 필요한 메모리양 예측하기
· 해시 테이블과 이진 검색 트리를 사용하여 맵 인터페이스 구현하기
· 크롤러로 웹 검색 엔진 구축하기

이 책은 자료구조와 알고리즘에 대한 내용을 설명하기 위해 문제 풀이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14개의 실습을 통해 자바 언어에서 기본으로 제공하는 자료구조인 자바 컬렉션 프레임워크(Java Collections Framework, JCF)의 주요 클래스를 중심으로 개념을 학습하고 시간 복잡도를 분석하며 성능을 측정해 봅니다. 또한, 성능 개선에 대해서도 알려 줍니다.
자료구조와 알고리즘에 대한 이해는 소프트웨어의 품질을 높이는 아주 기본적인 작업입니다. 요즘은 빅데이터와 클라우드가 있고 이미 검증된 수많은 DBMS가 있지만, 단지 활용만 해서는 원하는 품질을 얻기 힘듭니다. 내가 잘 만들고 있는지, 이미 구현된 레거시 소프트웨어의 병목은 무엇인지 분석하려면 학부 과정에서 배우는 자료구조와 알고리즘이 단단한 기본기가 되기 때문입니다. 졸업하고 나면 세부 내용은 모두 잊히겠지만, 머릿속 어딘가에는 남아 다시 떠올리게 됩니다.
이 책은 한 번에 후루룩 읽기에는 꽤 압축적인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꼭 설명해야 할 내용은 본문에서 충분히 설명하지만, 그 외 부가적인 내용은 과감하게 외부 링크를 제공합니다. 실습 과제를 먼저 제공하고 그다음 장에서 바로 필자의 해답을 제시하기 때문에 부담을 가질 필요는 없습니다. 끝까지 읽는다면 큰 도움이 된다고 확신합니다.
- 옮긴이의 말 중에서

저자소개

올린 공과대학교(Olin College of Engineering)의 컴퓨터공학과 교수로, 웰즐리 대학교(Wellesley College)와 콜비 대학교(Colby College), UC 버클리 대학교(UC Berkeley)에서 강의하였습니다. UC 버클리 대학교에서 컴퓨터공학 박사 학위를, MIT에서 석사와 학사 학위를 받았습니다. 이 책 외에도 『Think Stats』(2013), 『파이썬을 활용한 베이지안 통계』(2014, 이상 한빛미디어)를 집필하였습니다.

목차

CHAPTER 1 인터페이스
_1.1 리스트가 두 종류인 이유
_1.2 자바 interface
_1.3 List interface
_1.4 실습 1
CHAPTER 2 알고리즘 분석
_2.1 선택 정렬
_2.2 빅오 표기법
_2.3 실습 2
CHAPTER 3 ArrayList 클래스
_3.1 MyArrayList 메서드 분류하기
_3.2 add 메서드 분류하기
_3.3 문제 크기
_3.4 연결 자료구조
_3.5 실습 3
_3.6 가비지 컬렉션
CHAPTER 4 LinkedList 클래스
_4.1 MyLinkedList 메서드 분류하기
_4.2 MyArrayList와 MyLinkedList 비교하기
_4.3 프로파일
_4.4 결과 해석하기
_4.5 실습 4
CHAPTER 5 이중 연결 리스트
_5.1 성능 프로파일 결과
_5.2 LinkedList 메서드 프로파일하기
_5.3 LinkedList 끝에 더하기
_5.4 이중 연결 리스트
_5.5 자료구조 선택하기
CHAPTER 6 트리 순회
_6.1 검색 엔진
_6.2 HTML 파싱하기
_6.3 jsoup 사용하기
_6.4 DOM 트리 반복하기
_6.5 깊이 우선 탐색
_6.6 스택
_6.7 반복적 DFS
CHAPTER 7 철학으로 가는 길
_7.1 시작하기
_7.2 Iterable과 Iterator
_7.3 WikiFetcher
_7.4 실습 5
CHAPTER 8 인덱서
_8.1 자료구조 선택
_8.2 TermCounter
_8.3 실습 6
CHAPTER 9 Map 인터페이스
_9.1 MyLinearMap 구현하기
_9.2 실습 7
_9.3 MyLinearMap 분석하기
CHAPTER 10 해싱
_10.1 해싱
_10.2 해싱의 동작 방식
_10.3 해싱과 변형
_10.4 실습 8
CHAPTER 11 HashMap 클래스
_11.1 실습 9
_11.2 MyHashMap 분석하기
_11.3 트레이드오프
_11.4 MyHashMap 프로파일링
_11.5 MyHashMap 클래스 고치기
_11.6 UML 클래스 다이어그램
CHAPTER 12 TreeMap 클래스
_12.1 해싱의 문제점
_12.2 이진 탐색 트리
_12.3 실습 10
_12.4 TreeMap 구현하기
CHAPTER 13 이진 탐색 트리
_13.1 단순한 MyTreeMap 클래스
_13.2 값 탐색하기
_13.3 put 메서드 구현하기
_13.4 중위 순회
_13.5 로그 시간 메서드
_13.6 자가 균형 트리
_13.7 추가 실습
CHAPTER 14 영속성
_14.1 레디스
_14.2 레디스 클라이언트와 서버
_14.3 레디스 기반 인덱스 만들기
_14.4 레디스 데이터 타입
_14.5 실습 11
_14.6 추가 제안
_14.7 설계 힌트
CHAPTER 15 위키피디아 크롤링
_15.1 레디스 기반의 인덱서
_15.2 조회 성능 분석
_15.3 인덱싱 성능 분석
_15.4 그래프 순회
_15.5 실습 12
CHAPTER 16 불리언 검색
_16.1 크롤러 해답
_16.2 정보 검색
_16.3 불리언 검색
_16.4 실습 13
_16.5 Comparable과 Comparator
_16.6 확장
CHAPTER 17 정렬
_17.1 삽입 정렬
_17.2 실습 14
_17.3 병합 정렬 분석
_17.4 기수 정렬
_17.5 힙 정렬
_17.6 제한된 힙 정렬
_17.7 공간 복잡도

한줄 서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