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라딘

마인드닥터가 전하는 마음의 힘 - 12가지 주제로 풀어 보는 마음 설명서

한치호 지음 | 북랩
  • 등록일2018-01-24
  • 파일포맷pdf
  • 파일크기8 M  
  • 지원기기아이폰, 아이패드, 안드로이드, 태블릿, PC
  • 평점 평점점 평가없음

책소개

‘마음의 짐’을 ‘마음의 힘’으로 바꾸는 기적 같은 이야기!
인터넷에서 뜨거운 화제를 모았던 한 정신과 의사의
가슴 뭉클한 상담 기록


사람은 누구나 인격의 빛과 그림자, 곧 양면성을 갖고 있다. 빛으로 밝게 드러나 보이는 부분은 페르소나, 곧 가면이고, 그 아래는 불쾌하고 초라한 어두운 그림자가 숨어 있다. 이 그림자 안에 도사린 시기와 질투, 분노와 욕망은 부정할 수 없는 우리 자신의 모습이다. 겉으로 드러나는 ‘면모’가 나은 사람일수록 밝게 빛나는 가면을 유지하려 애쓰지만 그럴수록 그림자는 더 길게 드리워진다.
네 평 반짜리 진료실에서 온종일 그 어두운 그림자들과 마주하는 정신과 의사인 저자는 사람의 내면에서 널뛰는 분노와 좌절, 우울의 심연을 들추고 오늘도 보이지 않는 마음의 길을 찾는다. ‘이들의 상처를 아물게 하고 삶의 무게를 가볍게 해주렴.’ 가슴 답답해져 창밖에 부는 청량한 바람에 소원을 빌어도 본다. 하지만 어둡고 깊은 마음의 골짜기엔 쉽게 바람이 닿지 않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는 신이 우리에게 준 자기(Self) 안의 무궁무진한 마음의 힘과 넓은 정신의 스펙트럼이 있기에 치유가 가능하다고 믿는다. 그 힘으로 틀에 박힌 자아를 초월하는 성장을 이루고, 우리의 원형에 있는 자기치유의 힘을 되찾아야 한다고 본다. 나아가 우주물리학, 양자의학, 파동의학 등의 과학적 방법을 통해 막연한 추상성으로서의 마음이 아니라, 구체적인 모습과 방향성을 가진 마음에 대한 새로운 발견들을 기대한다.
이렇게 진료실에서 건져 올린 생생한 이야기들을 12가지 주제로 풀어내며 저자는 독자가 짊어진 삶의 무게를 함께 짊어지고자 한다. 내 마음이 왜 이렇게 힘들까 생각될 때, 순서와 관계없이 눈 가는 대로 펼쳐 보아도 좋은 훌륭한 마음 설명서가 되어 줄 것이다.

저자소개

1996년부터 현재까지 정신과 전문의로 일하고 있으며 울산에서 ‘마인드닥터의원’을 운영 중이다. 우울증을 중심으로 본인과 가족들에 대한 상담을 진행하여 환자들의 마음에 공감하고자 노력하고 있으며, 학생건강교육위원으로 학교에서 강의를 하고 있다. 제14회 한미수필문학상 대상을 수상하며 수필가로 등단했다.
블로그 http://blog.naver.com/minddocter

목차

서문 6

1장 가족
1. 어머니가 없어지면 좋겠어요 14
2. 독이 되는 부모 17
3. 지옥에 사는 천사 20
4. 응팔 가족들이 행복한 이유 23
5. 사랑은 지키는 것 34
6. 잉꼬부부가 되는 5가지 방법 39

2장 사랑과 이별
1. 늘어나는 이혼, 자신의 수레바퀴를 고치자 44
2. 가슴이 저릿했던 정환과 택의 사랑, 드라마 ‘응답하라 1988’ 47
3. 사랑에 대한 발칙한 상상을 다룬 두 영화 51
4. 사랑의 3번째 방법, 영화 ‘제3의 사랑’ 56
5. 나쁜 남자 구별법 61
6. 남자와 여자는 다른 종족 65

<진료실에서> 최고의 혁명, 사랑 69

3장 괜찮아요, 내 손을 잡아요(상처와 소통)
1. 미움 받을 용기 72
2. 장애 아이들의 천사 77
3. 우리의 간절한 순간, 만화 ‘당신의 모든 순간’ 79
4. 소중한 것을 잃고 얻게 된 소통, 영화 ‘퍼펙트 센스’ 82
5. 하얀 눈과 하얀 붕대 85
6. 가정 폭력과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87

4장 마음의 힘
1. 절규와 평화 공황장애 92
2. 몸과 마음의 신비한 연결 심신 상관관계 94
3. 내 안의 행복 물질, 영화 ‘꾸베 씨의 행복 여행’ 97
4. 달콤 씁쓰레한 인생, 영화 ‘달콤한 인생’ 102
5. 제3의 존재의 기적, 책 『왓칭』 106
6. 마음의 힘 109

<진료실에서> 괜찮아요 118

5장 우리 사회를 보며
1. 태완아, 잘 가거라 122
2. 우울증, 자살로 이어지는 ‘악플’을 염려하며 127
3. 우울증은 늘어나는데 보험 회사의 불응은 계속되고 129
4. 학교 폭력으로 인한 학생들의 자살을 접하며 132
5. 총기 난사 사건을 보고 학교의 문제가 연상되는데 138
6. 세월호 참사가 우리에게 남긴 숙제 143

6장 분노와 용서
1. 분노에 찬 우리 사회는 엘사의 겨울 왕국이다 148
2. 우리 안의 천사와 마녀, 영화 ‘말레피센트’ 153
3. 안젤리나 졸리의 부녀 관계, 그리고 브란젤리나와 아이들 156
4. 정당한 분노, 영화 ‘천 번의 굿 나잇’ 159
5. 마음에 피드백 센서를 부착하자 163

<진료실에서> ‘세상은 다 그래’일까요? 167

7장 욕망과 구원
1. 건강한 도파민과 의미 있는 성취 170
2. 욕망과 구원의 탑, 드라마 ‘하얀 거탑’ 174
3. 폭력과 복수의 악순환, 영화 ‘In a Better World’ 178
4. 우리를 구원하는 사랑, 영화 ‘A.I.’ 182
5. 욕망과 공포, 그리고 구원 188

8장 우리 같이 살아가며
1. 고개 숙인 아이 192
2. 다문화 가정과 더불어 살기 195
3. 우리 사회의 괴물들, 우리의 본능, 영화 ‘내부자들’ 198
4. 요리와 소통, 영화 ‘아메리칸 셰프’ 201
5. 고향 골목 204
6. 사는 것이 고통이라면 207

<진료실에서> 행복의 조건 210

9장 자연과 신화 속의 영웅
1. 엄마를 떠나는 딸 영웅 212
2. 강호(江湖)와 무협(武俠) 215
3. 로봇이 해 주는 구원, 영화 ‘터미네이터’ 221
4. 자연주의 영화의 고전이 되다, 영화 ‘아바타’ 226
5. 우리들 사이의 우주, 영화 ‘인터스텔라’ 230
6. 산악의 영웅들, 다큐멘터리 ‘아! 에베레스트’ 239

10장 죽음과 삶
1. 마음에 화석이 아닌 등불로 남게 되는 사별 244
2. 새로운 삶의 심지, 영화 ‘그래비티’ 247
3. 죽기 전에 꼭 하고 싶은 것들, 영화 ‘버킷 리스트’ 250
4. 삶과 죽음의 무게, 영화 ‘미 비포 유’ 253
5. 메멘토 모리, 죽음을 기억하라 257

<진료실에서> 고래의 꿈 260

11장 자아초월 정신의학
1. 자아초월(초개아) 정신의학과 연령 퇴행 최면 치료 264
2. 영혼은 있다 1 268
3. 영혼은 있다 2 271
4. 시간 여행과 카오스 이론, 영화 ‘나비 효과’ 275
5. 홀로그램 이론으로 가능한 만물의 상호 연결성 280

12장 변화를 위하여
1. 빛나게 변화해야 할 꼴값 286
2. 현재가 중요하다 291
3. 그 사람이 그리워지는 사회, 영화 ‘변호인’ 293
4. 정성을 다하는 리더, 영화 ‘역린’ 299
5. 변화 경영 전문가 구본형 님을 추모하며 304
6. 고뇌하는 청년들에게 307
7. 다시 시작하는 중년들에게 314

<진료실에서> 그 섬에 내가 있었네 322

한줄 서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