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라딘

진짜 식품첨가물 이야기 - 아무도 알려주지 않는

최낙언 (지은이) | 예문당
  • 등록일2022-03-28
  • 파일포맷epub
  • 파일크기3 M  
  • 지원기기아이폰, 아이패드, 안드로이드, 태블릿, PC
  • 평점 평점점 평가없음

책소개

당신이 그동안 들어왔던 식품첨가물에 대한 이야기는 모두 잊어라!가장 안전한 식품을 먹으면서도 오히려 불안해하고 불신하는 사람들끊이지 않고 제기되는 식품첨가물에 대한 잘못된 주장들가장 많은 오해를 받고 있는 식품첨가물, MSG우리 몸에 이미 존재하는 너무나 흔한 아미노산일 뿐이다안전에 전혀 문제가 없다고 밝혀지자 또다시 제기되는 문제들지금 식품의 문제는 성분이 아닌 욕망의 문제다무작정 위험하다는 주장은 무작정 안전하다는 주장보다 더 유해하다

저자소개

서울대학교와 대학원에서 식품공학을 전공하고, 1988년 12월 해태제과에 입사하여 기초연구팀과 아이스크림 개발팀에서 근무했다. 2000년부터 서울향료에서 소재 및 향료의 응용기술에 관하여 연구했으며, 2013년부터 ㈜시아스에서 식품관련 저술활동을 했다. 현재는 ㈜편한식품정보의 대표로 재직 중이다.
2009년, 첨가물과 가공식품에 대한 세간의 불량지식을 사실인 양 다룬 TV 프로그램에 충격을 받고는 올바른 답변을 찾기 위해 ‘www.seehint.com’을 만들어 여러 자료를 모으기 시작했다. 저자의 주 관심사는 ‘새로운 지식의 시각화 도구’를 만드는 것이다. 식품을 공부하던 중 자연과학 공부에 매료되었고, 이미 밝혀진 다른 분야의 지식을 그대로 연결하고 활용만 해도 식품의 많은 문제가 해결된다는 것을 알게 된 후, 2016년에 ㈜편한식품정보를 설립하여 지식을 구조화하고 시각화하여 동시에 전체와 디테일을 모두 확인할 수 있는 수단을 꾸준히 개발하고 있다.
저서로는 ‘최낙언의 <맛 시리즈>’인 『맛의 원리』, 『물성의 원리』, 『물성의 기술』, 『향의 언어』를 비롯하여 『GMO 논란의 암호를 풀다』, 『식품에 대한 합리적인 생각법』, 『감정이 어려워 정리해 보았습니다』, 『감칠맛과 MSG 이야기』, 『맛 이야기』, 『내 몸의 만능일꾼, 글루탐산』 등이 있다.

목차

들어가면서 - 만들어진 불안감



part 1 체험담은 과학이 아니다

1. 체험담의 치명적인 함정

체험담이란 주사위 던지기와 같은 것이다 / 왜 직접 체험한 사실도 무조건 믿으면 안 되는 것일까?

2. 만약 체험담이 사실이라면 어떨까?

건강식품과 건강법의 성공적인 체험담은 너무나 많다 / 아토피 치료에 체험담은 올바른 해결책일까?

다이어트에 성공한 사람이 많을수록 비만율은 늘어난다 / 체험담의 함정은 구체성과 생생함이다

체험담이 잘 먹히는 건 정확한 원인분석이 힘들기 때문이다 / 체험담이 잘 먹히는 건 숫자로 비교하지 않 기 때문이다

3. 첨가물이 마법의 물질이라고?

만약 맛을 속일 수가 있다면 왜 다이어트 식품은 실패할까? / 우리가 알고 있는 식품에 대한 상식은 의외 로 쉽게 무너진다 / 신제품의 대부분은 왜 그렇게 실패할까? / 만든 사람은 먹지 않는다고? / 잘 모르기 때문에 무서운 것이다 / 우리는 맛이 무엇인지 잘 모른다. 그래서 오해가 시작된다 / 첨가물이 나쁜 맛을 감출 수 있다고?



part 2 첨가물은 어떻게 작용하고 있을까?

1. 첨가물은 무엇인가? 식품 성분의 일부이다

식품첨가물의 규격과 규정 / 세상에 독성이 없는 물질은 없다

2. 유통 시 품질을 지키기 위한 첨가물: 보존료, 산화방지제

보존료: 미생물로부터 품질을 지킨다 / 산화방지제: 산패로부터 품질을 보호한다

3. 작업성(품질)을 높이는 첨가물: 유화제, 응고제

유화제: 식품 전용 계면활성제 / 응고제: 식품의 씹는 맛을 살린다

4. 영양을 높이는 첨가물: 미네랄, 비타민, 아미노산, 식이섬유(증점안정제)

미네랄: 미네랄은 무기질과 다른가? / 비타민: 비타민도 첨가물이다 / 아미노산: 모든 단백질은 20종의 아미노산으로 만들어진다 / 안정제(증점제): 수용성 식이섬유

5. 기호성을 높이는 첨가물: 미각(감미료, MSG), 후각(향료), 시각(색소, 발색, 표백)

미각: 미각을 만족시키기 위한 수단, 감미료와 MSG / 후각: 맛은 향이 지배한다, 향료 / 시각: 보기 좋은 떡이 맛도 좋다



part 3 첨가물, 제대로 알아야 안심할 수 있다

1. 첨가물에 대한 가장 대표적인 오해와 편견

싸고 효과가 강해서 마구잡이로 쓰인다? / 첨가물은 무조건 위험하다? / 첨가물은 최신 물질이라 아직 위 험이 검증되지 않았다?

2. 첨가물은 단지 식품(천연물)의 활성성분 농축물일 뿐이다

건강전도사들의 쇼, 쇼, 쇼 / 자연(천연)을 먹어야만 건강하다고? 과연 그럴까?

3. 첨가물에 관한 불량지식의 피해

의미 없는 의심으로 비용이 낭비되고 있다 / 새로운 혁신(소재, 첨가물의 개발)은 불가능해졌다

4. 첨가물, 이제는 바르게 알자

첨가물의 바른 평가가 식품에 대한 불안감 해소의 시작이다 / 첨가물은 안전보다 소통의 문제다



마무리하면서 - 첨가물은 첨가하도록 만들어진 물질이다

선입견을 버리고 있는 그대로 보자 / 뒤집어 보아야 제대로 알 수 있는 것이 많다 / 올바른 평가가 좋은 식품 문화를 만든다

한줄 서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