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출간된 《로쟈의 한국 현대문학 수업》의 개정판!
저자소개
서울대학교 노어노문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로쟈’라는 필명을 가지고 매일 새롭게 출간되는 책들을 소개하는 서평가로 활동하며 이름을 알렸다. 주로 대학 바깥에서 러시아문학과 세계문학, 한국문학, 인문학을 강의하며 여러 매체에 칼럼을 연재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 《로쟈의 러시아 문학 강의》, 《로쟈의 세계문학 다시 읽기》, 《로쟈와 함께 읽는 문학 속의 철학》, 《로쟈와 함께 읽는 지젝》, 《너의 운명으로 달아나라》, 《책에 빠져 죽지 않기》, 《책을 읽을 자유》 등이 있다.
초판 서문
세계문학의 바다를 건너 다시 만난 한국현대문학
개정판 서문
남성작가와 여성작가로 나누어 살펴본 한국현대문학
1장 1960년대 Ⅰ: 최인훈 《광장》
남한과 북한 모두를 거부하는 ‘회색인간’의 의미와 한계
전후문학과 한글문학 사이에서, 최인훈의 탄생 / 북한에서 남한으로, 회색인간 최인훈의 여정 / 《광장》의 어떤 판본을 ‘정본’으로 삼을 것인가 / 《광장》 이후 뛰어난 작품이 나오지 못한 이유 / 《광장》이 지속적인 개작을 거쳐 온 과정 / ‘지식인 작가’ 최인훈이 자부했지만 퇴색한 것들 / 그럼에도 최인훈의 《광장》이 성취한 것들 / ‘광장 대 밀실의 이분법’은 과연 옳았는가 / ‘아버지’라는 대타자와 주체의 탄생 / 《광장》에서 등장하는 ‘아버지 비판’ / ‘밀실’은 이명준을 어떻게 구원하는가
2장 1960년대 Ⅱ: 이병주 《관부연락선》
전혀 다른 문학의 길을 제시한 ‘한국의 발자크’ 이병주의 세계
한국의 발자크가 되고자 했던 이병주 / ‘실록소설’이라는 정체불명의 장르를 개척하다 / 감옥생활과 세계여행이 바탕이 된 《소설‧알렉산드리아》 / 《소설‧알렉산드리아》에서 나타난 이병주 문학의 특징 / 한국문학사에서 이병주를 재평가해야 하는 이유 / 이병주는 최인훈과 어떻게 다른 길을 갔는가 / 《관부연락선》 이후 이병주가 개척한 길 / 작가의 체험으로부터 나온 《관부연락선》의 리얼리티 / ‘관부연락선’이 보여주는 전후 역사에 대한 총체적인 반성 / 허무주의자이자 회색인간 이병주의 선택
3장 1960년대 Ⅲ: 김승옥 《무진기행》
순수에서 세속으로 넘어가는 현대인의 증상을 포착하다
1960년대의 신화가 된 작품 《무진기행》 / 주인공 윤희중이 제약회사에 다니는 이유 / 한국에서 모더니즘은 어떻게 탄생했는가 / 4・19세대의 등장과 근대적 개인의 탄생 / 문학적 신화가 된 김승옥, 신앙으로 귀의하다 / ‘순수’에서 ‘세속’으로 넘어가는 과정에서 느끼는 부끄러움 / 여성화된 인물 윤희중이 보여주는 한국 사회 / 현대인의 전형 윤희중과 한국인들의 무의식 / 《무진기행》이 참고할 만한 장편소설의 길 / 《무진기행》이 만들어낸 ‘비겁함’과 ‘부끄러움’의 공동체 / 아내의 ‘전보’와의 타협, 그리고 무진과의 완전한 작별
4장 1970년대 Ⅰ: 황석영 《삼포 가는 길》
황석영은 ‘방랑자 문학’을 넘어 ‘비판적 리얼리즘’에 도달했는가
황석영이 나아간 문학적 여정 / 문학사에서 바라본 황석영의 의의 / 황석영이 선택할 수 있었던 ‘막심 고리키’의 길 / 김승옥이 다룰 수 있었던 ‘부르주아문학’ / 황석영은 왜 막심 고리키로 나아가지 못했는가 / 《객지》 이후 황석영이 갈 수 있었던 길 / 황석영의 초기 작품들이 보여준 성취와 한계 / 황석영은 ‘비판적 리얼리즘’에 도달했는가 / 돌아갈 곳 없는 부랑자들의 여행기
5장 1970년대 Ⅱ: 이청준 《당신들의 천국》
살아 있는 권력을 겨냥했던 가장 비판적인 소설로 다시 읽기
이청준의 작품과 함께 시작된 1970년대의 문제의식 / 한국 사회의 권력 문제를 다룬 희소한 소설 / 르포 기사를 바탕으로 쓰인 한국현대사의 축소판 / 《당신들의 천국》을 읽는 세 가지 독법 / 마지막 장면에서 이상욱의 웃음이 의미하는 바 / 《당신들의 천국》이 성취한 ‘사회소설’로서의 의의 / 관념소설의 대가 이청준의 ‘복수로서의 소설론’ / ‘조백헌들의 천국’에 대한 반론 / 이청준이 추구해온 이념은 현실과 잘 맞았는가 / 조백헌 원장 배후에 숨은 실체는 무엇인가
6장 1970년대 Ⅲ: 조세희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
하층계급과 상층계급을 가리지 않는 자본주의 시스템의 모순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은 왜 중요한 작품인가 / 리얼리즘의 주제를 표방하는 모더니즘 소설 / 자본의 노동자 관리를 위한 최적의 시스템 / 세계문학의 흐름에서 바라본 노동문학의 발전단계 / 작품의 서사와 작가의 우화가 서로 다른 이유 / 중간층 사람들이 보이는 분열적 태도 / 민주주의 정치 체제의 두 가지 형태 / 현실의 공포를 상기하는 소재의 활용 / 자본주의는 내부로부터 붕괴할 것이다
7장 1970년대 Ⅳ: 이문구 《관촌수필》
근대화 과정에서 희생된 전근대 인물들의 의리와 인정
근대화 시대를 맞이하는 농촌소설의 과제 / 소설이 근대화에 대응하는 세 가지 방식 / 이문구가 근대를 거부하고 김동리를 찾아간 이유 / 충청도 출신 이문구가 《관촌수필》을 쓰기까지 / 변해가는 세상 속에서 이문구 문학이 지켜온 고집 / 《관촌수필》이 장편소설이 될 수 없는 이유 / ‘개인’과 ‘마음’이 없는 전근대 인물들의 실상 / 이문구는 ‘아버지’ 자리에 무엇을 채웠는가
8장 1980년대 Ⅰ: 김원일 《마당 깊은 집》
해답을 찾기보다 상처를 드러내는 김원일의 분단문학
분단문학의 간판 작가 김원일의 어린 시절 / 김원일이 본격적인 작가 활동을 시작하기까지 / 김원일 문학에서 나타나는 ‘먹고사니즘’의 기원 / 분단문학은 분단 문제를 어떻게 다루는가 / 분단과 전쟁의 상흔을 피해자의 시각에서 드러내다 / 형편이 어렵고 궁상맞은 아래채 사람들 / 미국과의 관계로 보는 현대 한국의 기원 / 위채 사람들에 대한 동경과 금기 / 전쟁 이후 한국 사회는 어떻게 재건되었는가
9장 1980년대 Ⅱ: 이문열 《젊은 날의 초상》
중산층이 되려는 독자들의 열망을 자극한 이문열의 교양주의
이문열과 함께 시작된 ‘한국식 교양주의’ 소설 / 이문열의 삶을 지배했던 교양주의의 특징 / 진영을 가리지 않고 이문열의 교양주의에 반응했던 독자들 / 이문열의 교양주의가 성취한 것과 놓친 것들 / 이문열의 문학과 행보에서 보이는 현실과 관념의 불일치 / 1부 〈하구〉에서 드러나는 작가의 분열적 현실 인식 / 2부 〈우리 기쁜 젊은 날〉이 보여주는 실패의 여정 / 3부 〈그 해 겨울〉이 들려주는 절망에서 길을 찾는 방법 / 10년 전에 부친 편지였던 《젊은 날의 초상》
10장 1980년대 Ⅲ: 이인성 《낯선 시간 속으로》
아버지의 그늘을 넘어 ‘탈주’를 모색하는 실험적 소설의 탄생
한국문학사의 대표적인 모더니스트 / 이인성 문학이 난삽하고 난해한 이유 / 소설에서는 해결됐지만 작가에게서 해결되지 못한 문제 / 프랑스문학의 흐름을 적극 흡수한 김현의 문학그룹 / 이인성에게 주어진 ‘주체되기’의 두 가지 방향 / 네 편의 연작들이 서로 잘 들어맞지 않는 이유 / 혼란스러운 작품임에도 실존적 무게감이 있는 이유 / 이인성이 아버지와의 대결을 끝맺지 못한 이유
11장 1990년대: 이승우 《생의 이면》
아버지와 어머니 없이 ‘텅 비어 있는’ 현대인을 위로하는 문학
한국보다 프랑스에서 사랑받는 한국작가 / 작가 이승우의 경험 그 자체인 이야기 / 자전소설을 쓰는 작가 이승우의 과제 / ‘주체 형성’이라는 과제의 세 가지 유형 / 자신만의 오이디푸스 신화를 만들어나가는 이승우 / 신화 속 어머니에 대한 사랑의 실패 / 자기 치료이자 독자 치료로서의 이승우 문학
12장 2000년대: 김훈 《칼의 노래》
작가의 분신이자 근대적 인간으로서 ‘허무주의’를 말하는 이순신
김훈이 늦은 나이에 작가로 성공하기까지 / 자신만의 독특한 문체로 승부하는 소설가 / 허무주의적 세계관에서 비롯된 문체의 특징 / 역사적 영웅에게서 ‘내면성’을 발견하다 / 이순신이 근대적 내면성을 갖추기까지 / 충무공 이순신은 ‘개별성’을 인식할 수 있는가 / 김훈이 내세우는 허무주의적 세계관의 정체 / 김훈의 소설이 갖는 강점과 약점 / 소설가 김훈이 창의성을 발휘한 영역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