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우리의 도시화와 국토개발사를 돌아보다</b>;<BR>;<BR>;도시화는 하루아침에 이루어지기 힘들다. 신개발과 재개발을 막론하고 시간적으로나 공간적으로 단계별 개발이 될 수밖에 없다. 그러나 현대사회에서 근대화가 늦은 국가는 기존 선진국에 비해 단기간의 도시화 수요가 발생하고, 이에 대한 신속한 대처가 필요하기 마련이다.<BR>;대한민국은 이러한 수요에 맞는 도시개발 정책의 벤치마킹에 매우 적합한 경험을 가지고 있다. 일제강점기와 한국전쟁 등을 통한 열악한 국토환경 속에서 유례없는 도시화의 좋은 사례를 보유하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대한민국의 도시화 과정을 조명해보는 것은 매우 의미 있는 일이라고 할 수 있다. <BR>;본 도서는 대한민국 국토 ? 도시화를 ‘Part 1 도시성장(제1장 서울의 도시화, 제2장 신도시 개발)’, ‘Part 2 균형발전(제3장 산업단지 개발, 제4장 공공기관의 지방이전)’, ‘Part 3 도시재생’이라는 큰 3단계의 범주로 구분하여 구성하였다.<BR>;먼저 제1장 서울의 도시화에서는 수위도시인 수도 서울의 도시화를 살펴보도록 한다. 이 장에서는 근대 한국 도시화의 출발에서 발생하는 도시의 가수요와 인프라 대응 그리고 확장 및 이를 위한 정책 등을 들여다볼 수 있다. 제2장 신도시 개발에서는 한국 도시화의 획기적 전환점이 된 수도권의 1 ? 2기 신도시를 조명하였다. 여기서 신속하고 우수한 대규모의 신도시 공급 과정을 시기별로 비교하여 살펴볼 수 있게 하였다.<BR>;제3장 산업단지 개발에서는 국가경제성장과 지역발전의 초석이 된 산업단지의 시대별 흐름과 외국자본 유치를 위한 투자단지까지 설명하였다. 나아가 제4장 공공기관의 지방이전에서는 행정중심복합도시, 혁신도시, 도청이전 신도시 등을 통한 공공의 국토균형발전을 위한 지방계획도시 각각의 배경과 법 ? 제도적 특성 및 지원에 대해 제시하였다.<BR>;마지막으로 제5장 도시재생에서는 1970년대부터의 도시재개발 및 재정비의 시대별 패러다임 변화를 통해 도시재생의 추진배경을 설명하고, 최근의 추진현황과 사례를 제시하여, 도시재개발과 재생의 연결 흐름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다.<BR>;<BR>;한국 경제의 고도성장기를 거쳐, 모두가 ‘4차 산업혁명’과 ‘미래도시의 방향’에 대한 관심이 증폭되고 있는 이때, 이 책이 향후 한국의 도시화 국토개발 및 발전에 유용하게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한양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고 2004년부터 현재까지 LH 토지주택연구원에서 국토 및 도시계획 그리고 해외도시개발 분야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저서로는 《도시, 인간과 공간의 커뮤니티》가 있다.
PART 01 도시성장
\r\n
\r\n1장 서울의 도시화
\r\n1. 서 론
\r\n2. 한강 : 공유수면개발
\r\n3. 강남 : 초거대 구획정리와 비환지
\r\n4. 신시가지 개발 : 공영개발방식의 도입
\r\n
\r\n2장 신도시 개발
\r\n1. 서 론
\r\n2. 수도권 1기 신도시 : 한국형 신도시의 시초
\r\n3. 수도권 2기 신도시
\r\n
\r\nPART 02 균형발전
\r\n
\r\n3장 산업단지 개발
\r\n1. 서 론
\r\n2. 수출산업공단 및 \'도시계획법\'을 활용한 산업단지 조성
\r\n3. 산업기지 및 지방공단 조성
\r\n4. 중소기업 진흥 및 국토균형발전을 위한 산업단지 조성
\r\n5. 복합형 산업단지 조성 및 산업단지 제도 통합.정비
\r\n6. 도시첨단산업단지 및 임대산업단지 조성
\r\n7. 외국인투자유치를 위한 산업단지 조성
\r\n8. 성과와 과제
\r\n
\r\n4장 공공기관의 지방이전
\r\n1. 서 론
\r\n2. 행정중심복합도시
\r\n3. 혁신도시
\r\n4. 도청이전 신도시 : 내포신도시
\r\n5. 성과와 과제
\r\n
\r\nPART 03 도시재생
\r\n
\r\n5장 도시재생
\r\n1. 서 론
\r\n2. 도시재생 관련 법체계와 제도
\r\n3. 도시재생 관련 사업의 추진현황 및 사례
\r\n4. 도시재생사업의 추진현황 및 사례
\r\n5. 성과와 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