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라딘

대학생을 위한 5G 이동통신 첫걸음 - 1G 이동통신부터 5G/IoT까지

정우기 (지은이) | 복두출판사
  • 등록일2020-04-08
  • 파일포맷pdf
  • 파일크기23 M  
  • 지원기기아이폰, 아이패드, 안드로이드, 태블릿, PC
  • 평점 평점점 평가없음

책소개

머리말<BR>;<BR>;눈부시게 발전하는 이동통신은 오늘날 사람과 사람의 통신을 넘어 사람과 사물, 사물과 사물이 통신하는 시대가 되었다. 이동통신은 지난 1980년대부터 30여년간 발전을 하면서 우리나라 산업 발전에 크게 기여하고 사회 및 문화생활에 큰 변화를 가져왔다. <BR>;<BR>;CDMA로 시작된 디지털 이동통신은 3세대, 4세대, 5세대 이동통신으로 발전하고 IoT는 모든 사물까지 인터넷을 연결하면서 우리 생활에 깊숙이 파고들어 새로운 문화를 창출하고 있다. 이동통신을 이해하지 못하면 새로운 문화를 이해할 수 없는 사회가 되었다. 따라서 이동통신은 공학을 하는 사람 몇몇 사람만의 관심이 아니라 많은 비전공자에게도 그리고 사회에 나갈 준비를 하는 학생들에게도 높은 관심의 대상이 되었다.<BR>;<BR>;필자는 15년간 이동통신관련 산업에 종사하다가(ETRI, SK텔레콤, 신세기통신, LG유플러스) 대학에서 이동통신관련 과목들을 가르치게 되었다. 고등학교 시절 이동통신에 관심을 두다가 대학에 들어와 이동통신을 접하게 된 학생들에게 이동통신은 공학이 아닌 하나의 문화로 이해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동통신이란 무엇인가?”, “눈에 보이지 않는데 어떻게 통화가 이루어지는 것인가?”, “이동통신의 과거는 어떤 모습이고 이렇게 빨리 발전하면 미래의 모습은 어떤 모습일까?”, “모든 사물을 연결하는 사물인터넷은 세상을 어떻게 바꿀까? 그리고 어떻게 가능할까?” 하는 일반적인 질문과 “1세대 이동통신부터 5세대 이동통신의 기술 차이는? 어떤 능력이 달라졌는가?” 하는 질문에 쉽게 답할 수 있으면서도 이동통신에 대해 좀 더 깊이 공부하게 될 대학생들의 입문 성격의 책을 만들고자 하였다. “대학생을 위한 이동통신 첫걸음”이 “미술의 이해”, “음악의 이해”와 같이 많은 사람들이 이동통신에 대한 호기심을 조금이라도 충족시켰으면 하는 마음이다. <BR>;<BR>;제1부는 이동통신의 역사를 다루었다. 일반적인 통신의 개념과 역사, 이동통신의 개념과 역사를 이해함으로써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 이동통신의 발전 방향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제2부는 이동통신을 가능하게 한 기본 원리를 다루었다. 이동통신의 시작이라고 할 수 있는 전파와 주파수, 이동통신의 기본 원리인 셀룰러 이론 그리고 이동통신기술을 구현하는 디지털통신기술의 기본 개념을 포함하고 있다. 제3부는 이동통신기술의 핵심기술을 다루었다. 우선 이동통신기술의 발전 과정을 살펴보고 세대별 핵심기술이면서 지금도 세계적으로 사용중인 GSM, cdma2000, WCDMA, LTE / LTE-Advanced 시스템의 핵심기술을 요약하였다. 제4부는 이동통신기술과 모든 산업을 융합한 5세대 이동통신과 IoT 이동통신을 다루고 있다. <BR>;<BR>;끝으로 이 책을 만드는 동안 많은 도움을 주신 업체관계자 분들께 이 글을 통해 감사드리며, 또한 다시 책을 개정하여 출판하도록 도와주신 복두출판사 사장님 및 직원들께 감사드리는 바이다.<BR>; <BR>;2019년 1월<BR>;저자 씀 <BR>;

저자소개

연세대학교 전자공학과에서 학사, 석사, 박사학위를 받았다(공학박사). 한국전자통신연구원, SK텔레콤, 신세기통신, LG텔레콤(현 LG유플러스)에서 16년간 이동통신관련 분야에 종사하면서 CDMA, IMT-2000, 4세대 이동통신 등을 연구하였다. 지난 2001년에는 정보통신부 “IT 국제 표준화 전문가 100인”으로 선정되었으며, 2006년에는 정보통신부 장관 표창장을 수상하였다. 방송통신위원회, 한국 ITU-R 연구위원회, 차세대이동통신포럼,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 한국전파방송통신진흥원, 전파진흥협회 등에서 자문위원, 연구위원 등을 역임하였다. 2003년부터 청강문화산업대학교 모바일스쿨 이동통신전공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목차

PART 1. 이동통신의 역사
\r\n제1장 통신이란 무엇인가?
\r\n1.1 통신과 신호
\r\n1.1.1 통신이란 무엇인가?
\r\n1.1.2 신호란 무엇인가?
\r\n
\r\n1.2 다양한 통신수단의 이용
\r\n1.2.1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여러 가지 통신수단의 이용
\r\n1.2.2 전기가 사용되기 이전 통신 수단
\r\n1.2.3 전기를 이용한 통신의 시작
\r\n
\r\n1.3 통신의 역사
\r\n1.3.1 개요
\r\n1.3.2 전기가 이용되기 이전 통신의 역사
\r\n1.3.3 전기를 이용한 통신 수단의 이용과 통신의 혁명
\r\n1.3.4 다양한 통신매체의 발명
\r\n
\r\n1.4 통신방식의 발전
\r\n1.4.1 개요
\r\n1.4.2 다양한 전파통신 서비스
\r\n1.4.3 전파통신 서비스의 비전
\r\n
\r\n제2장 이동통신의 시작과 발전
\r\n2.1 이동통신의 시작
\r\n2.1.1 개요
\r\n2.1.2 이동통신의 역사
\r\n2.1.3 이동통신의 개념
\r\n
\r\n2.2 이동통신의 발전
\r\n2.2.1 개요
\r\n2.2.2 이동통신의 세대별 서비스 특징
\r\n2.2.3 이동통신의 세대별 서비스 개념
\r\n
\r\nPART 2. 이동통신의 원리
\r\n제3장 전파란 무엇인가?
\r\n3.1 전파와 주파수 그리고 신호
\r\n3.1.1 전파의 정의
\r\n3.1.2 전파의 용어
\r\n3.1.3 전파와 음파의 비교
\r\n3.1.4 주파수의 개념
\r\n3.1.5 신호의 전달
\r\n3.1.6 신호와 주파수
\r\n3.1.7 주파수와 통신서비스
\r\n
\r\n3.2 전파의 발생
\r\n3.2.1 전파의 역사
\r\n3.2.2 전파의 발생
\r\n
\r\n3.3 전파의 전달
\r\n3.3.1 전파의 전달 특성
\r\n3.3.2 전파의 전달 형태
\r\n
\r\n제4장 셀룰러 이동통신이란 무엇인가?
\r\n4.1 개요
\r\n4.1.1 셀룰러 이동통신 시스템
\r\n4.1.2 셀의 정의
\r\n4.1.3 주파수 재사용
\r\n4.1.4 셀 분할
\r\n4.1.5 셀의 형태
\r\n4.1.6 채널 구조
\r\n
\r\n4.2 셀룰러 엔지니어링
\r\n4.2.1 전파 예측 모델
\r\n4.2.2 위치 등록
\r\n4.2.3 로밍
\r\n4.2.4 호출
\r\n4.2.5 핸드오프
\r\n4.2.6 전력제어
\r\n4.2.7 다이버시티
\r\n4.2.8 간섭
\r\n4.2.9 통화품질 측정 방법
\r\n4.2.10 기지국 엔지니어링
\r\n
\r\n4.3 셀룰러 시스템의 구성
\r\n4.3.1 개요
\r\n4.3.2 단말기
\r\n4.3.3 기지국
\r\n4.3.4 중계기
\r\n4.3.5 기지국제어기
\r\n4.3.6 교환기
\r\n4.3.7 라우터
\r\n4.3.8 방문자 위치 등록기
\r\n4.3.9 홈 위치 등록기
\r\n4.3.10 인증장치/단말장치 등록기
\r\n4.3.11 망관리/고객관리/과금 시스템
\r\n
\r\n4.4 셀룰러 시스템의 동작
\r\n4.4.1 개요
\r\n4.4.2 위치등록 및 일제호출 절차
\r\n4.4.3 통화 절차
\r\n4.4.4 핸드오프 절차
\r\n
\r\n4.5 통화품질 장애 발생 및 원인
\r\n4.5.1 개요
\r\n4.5.2 통화 품질 장애 발생
\r\n4.5.3 통화 품질 장애 원인
\r\n
\r\n제5장 디지털 통신이란 무엇인가?
\r\n5.1 디지털 신호와 통신
\r\n5.1.1 디지털 신호란 무엇인가?
\r\n5.1.2 디지털 통신의 정의
\r\n5.1.3 디지털 통신의 장점
\r\n5.1.4 디지털 통신의 데이터 전송 용량
\r\n
\r\n5.2 디지털 통신 기술
\r\n5.2.1 기본 개념
\r\n5.2.2 A-D 변환(Analog to Digital 변환)
\r\n5.2.3 원천 부호화
\r\n5.2.4 채널 부호화
\r\n5.2.5 인터리빙
\r\n5.2.6 변조와 복조
\r\n5.2.7 다중접속 및 다중화
\r\n5.2.8 대역확산
\r\n5.2.9 듀플렉스
\r\n5.2.10 디지털이동통신 시스템
\r\n
\r\n
\r\nPART 3. 이동통신의 발전
\r\n제6장 이동통신기술의 개발 과정
\r\n6.1 개요
\r\n6.2 주파수 할당
\r\n6.3 3세대 이동통신
\r\n6.3.1 개요
\r\n6.3.2 IMT-2000 기술 표준
\r\n6.3.3 IMT-2000 망구조
\r\n6.3.4 IMT-2000 서비스
\r\n
\r\n6.4 4세대 이동통신
\r\n6.4.1 개요
\r\n6.4.2 IMT-Advanced 기술 표준
\r\n6.4.3 IMT-Advanced 망구조
\r\n6.4.4 IMT-Advanced 서비스
\r\n
\r\n제7장 cdma2000/EV-DO
\r\n7.1 개요
\r\n7.1.1 배경
\r\n7.1.2 CDMA 기술의 기본 개념
\r\n7.1.3 CDMA 이동통신 시스템
\r\n7.1.4 CDMA 시스템의 특징
\r\n
\r\n7.2 망구조
\r\n7.2.1 IS-95A 시스템의 망구조
\r\n7.2.2 cdma2000 시스템의 망구조
\r\n7.2.3 cdma2000 시스템의 망진화
\r\n
\r\n7.3 주요 기술
\r\n7.3.1 IS-95A
\r\n7.3.2 cdma2000
\r\n
\r\n7.4 1x EV-DO/Rev. A/B
\r\n7.4.1 개요
\r\n7.4.2 망구성 및 운용
\r\n7.4.3 주파수 자원 이용
\r\n7.4.4 채널 구조
\r\n7.4.5 프레임 구조
\r\n7.4.6 주요 기술
\r\n7.4.7 전송 속도
\r\n
\r\n제8장 GSM/GPRS
\r\n8.1 개요
\r\n8.2 망구조
\r\n8.3 주요 기술
\r\n8.3.1 주파수 자원 이용
\r\n8.3.2 채널 구조
\r\n8.3.3 프레임 구조
\r\n8.3.4 전송 기술
\r\n8.3.5 호처리 절차
\r\n8.3.6 주요 기능
\r\n
\r\n8.4 GPRS 시스템
\r\n8.4.1 개요
\r\n8.4.2 GPRS 망구조
\r\n8.4.3 GPRS 채널 구조
\r\n8.4.4 호처리 절차
\r\n
\r\n
\r\n제9장 WCDMA/HSPA
\r\n9.1 개요
\r\n9.2 망구조
\r\n9.3 주요 기술
\r\n9.3.1 주파수 자원 이용 기
\r\n9.3.2 채널 구조
\r\n9.3.3 호처리 절차
\r\n9.3.4 주요 기능
\r\n
\r\n9.4 HSPA
\r\n9.4.1 개요
\r\n9.4.2 채널 구조
\r\n9.4.3 주요 기술
\r\n
\r\n제10장 LTE/LTE-Advanced
\r\n10.1 개요
\r\n10.1.1 개요
\r\n10.1.2 OFDM 기술의 기본 개념
\r\n10.1.3 OFDM 시스템의 구성
\r\n10.1.4 OFDM 기술의 특징
\r\n
\r\n10.2 망구조
\r\n10.2.1 개요
\r\n10.2.2 WCDMA/HSPA 시스템의 망 기능
\r\n10.2.3 LTE/SAE 시스템의 망 구조 변화
\r\n10.2.4 핵심망의 구조
\r\n
\r\n10.3 주요 기술
\r\n10.3.1 주파수 자원 이용
\r\n10.3.2 무선 프로토콜
\r\n10.3.3 채널 구조
\r\n10.3.4 물리채널 구조
\r\n10.3.5 컨볼루션널 터보 코드
\r\n10.3.6 호처리 절차
\r\n10.3.7 IP 기반 모바일브로드밴드 서비스
\r\n
\r\n10.4 LTE-Advanced 시스템
\r\n10.4.1 개요
\r\n10.4.2 LTE-Advanced 시스템의 주요 기술
\r\n10.4.3 LTE-Advanced 시스템의 전용속도
\r\n
\r\n
\r\nPART 4. 이동통신의 진화
\r\n제11장 5G 이동통신
\r\n11.1 개요
\r\n11.1.1 서비스 배경
\r\n11.1.2 서비스 개념
\r\n11.1.3 시스템 개발
\r\n
\r\n11.2 5G 서비스
\r\n11.3 5G 구현 기술 이슈
\r\n11.3.1 개요
\r\n11.3.2 무선 통신 기술 개선
\r\n11.3.3 진화된 안테나 기술
\r\n11.3.4 주파수 이용 기술 개선
\r\n11.3.5 네트워크 기술 개선
\r\n11.3.6 차세대 서비스 지원 기술 개선
\r\n11.3.7 사용자 경험 기술 개선
\r\n11.3.8 단말 기술 개선
\r\n11.3.9 보안 및 개인 정보 기술
\r\n
\r\n11.4 NR 망구조
\r\n11.4.1 개요
\r\n11.4.2 5G 망구조
\r\n11.4.3 5G 망구조의 주요 기능
\r\n
\r\n11.5 NR 주요 기술
\r\n11.5.1 개요
\r\n11.5.2 주파수 자원 이용 기술
\r\n11.5.3 진화된 안테나 시스템
\r\n11.5.4 무선전송 기술
\r\n11.5.5 NR 동기 및 초기접속 기술
\r\n
\r\n제12장 IoT 이동통신
\r\n12.1 개요
\r\n12.1.1 서비스 배경
\r\n12.1.2 서비스 개념
\r\n
\r\n12.2 IoT 서비스 응용과 기술
\r\n12.2.1 개요
\r\n12.2.2 IoT 서비스
\r\n12.2.3 IoT 기술
\r\n
\r\n12.3 NB-IoT
\r\n12.3.1 기술 개요
\r\n12.3.2 시스템 운용 모드
\r\n12.3.3 주요 기술 특징
\r\n
\r\n12.4 LoRa
\r\n12.4.1 기술 개요
\r\n12.4.2 시스템 구성
\r\n12.4.3 주요 기술 특징
\r\n
\r\n12.5 무선랜
\r\n12.5.1 서비스 개요
\r\n12.5.2 주파수 할당
\r\n12.5.3 서비스 특징
\r\n12.5.4 시스템 특징
\r\n12.5.5 서비스 전망
\r\n
\r\n12.6 다양한 WPAN 기술
\r\n12.6.1 무선식별(RFID)
\r\n12.6.2 블루투스
\r\n12.6.3 ZigBee
\r\n12.6.4 Z-wave
\r\n12.6.5 UWB
\r\n12.6.6 적외선 통신
\r\n
\r\n부록
\r\nA.1 국내 이동통신 주파수 할당 현황
\r\nA.2 CDMA 이동통신 원리
\r\nA.3 OFDM 이동통신 원리
\r\nA.4 전파 세기의 상대전력 및 절대전력의 표현

한줄 서평